목록Study/Git (7)
ez-dev-oo
커밋이란 거.. 쉬우면서도 복잡하고 은근히 지켜야 할 게 많으면서도 자유롭다..이 글과 지난번 사용하던 컨벤션을 고려하여 설정했다.사실 혼자 뚝딱뚝딱 만드는 작은 프로젝트지만, 그래도 규칙을 정해두고 해버릇 하면 실제 협업에서 도움이 될 것 같아 지키려고 노력 중이다. ◾ 자주 쓰는 Type • Feat : 새로운 기능 추가 • Modify : 기능 변경. 기능 업데이트 또는 기능 삭제 • Fix : 버그 또는 에러 수정 • Chore : 빌드 수정, 패키지 추가, 환경변수 설정 등 자잘한 업데이트 • Design : CSS 등 UI 디자인 수정 • Style : 코드 포맷팅, 코드 오타, 함수명 수정 등 코드 스타일 수정 • Refactor : 코드 리팩토링 • Comment : 주석 ..
커밋은 너무 몰아서 하지 말자고 다짐해보기,,다음 프로젝트부턴 커밋 규칙부터 정해두고 해야겠다.어떨 땐 기능수정에 Feat, 어떨 땐 Fix, 등등 기준을 딱히 잡지 않고 push했더니 기록을 찾아보기가 너무 불편하다. 그리고 조금 더 세세하게 작성하도록 정해야 할 듯.이를 위해 참고하기 좋은 블로그를 찾았다. 기록해두기 Git commit message 컨벤션 설정git commit message 작성시 일관된 규칙의 제목줄을 통해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 고찰 중 컨벤션 설정inchan.devFeat *새로운 기능 추가 Fix *버그를 고친 경우 (수정한 경우로 사용중) Design *CSS 등 사용자 UI 디자인 변경 Style *코드 스타일 변경 (코드 포맷 변경, 세미콜론 누락 등 코드 변경..

가장 최근의 커밋 메시지를 수정해보자. 커밋이 로컬에만 있고 푸시되지 않은 경우 다음 명령어로 수정 가능하다.git commit --amend git commit --amend 명령을 하면 이전 커밋 메시지가 적힌 vim 에디터가 뜬다.i를 눌러 작성 모드로 들어가 수정한 후 esc 버튼으로 나와 :wq로 저장 및 종료를 하면 된다. 이전 또는 여러 커밋 메시지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.하지만 이미 푸시한 경우, 수정된 메시지와 함께 커밋을 강제로 푸시해야 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강력 권장한다고 함. 커밋 메시지 변경 - GitHub Docs커밋 메시지에 명확하지 않거나 잘못되거나 중요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로컬에서 수정하고 새 메시지와 함께 새 커밋을 GitHub에 푸시할 수 있습니다. 커밋 메시지..

새 프로젝트 생성 후 테스트 겸 commit을 보내려고 하는데, 이런 경고가 떴다. - LF(Line-Feed): 유닉스 시스템 사용되는 줄바꿈 문자열(\n) CRLF(Carriage Return Line-Feed): Windows에서 사용되는 줄바꿈 문자열(\r\n)- OS마다 사용되는 줄바꿈 문자열이 다르기 때문에 git이 둘 중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 지 혼란스러워함 이런 이유로 나타나는 경고라고 한다.그럼 설정해보자!$git config core.autocrlf true$git config --global core.autocrlf true 위의 명령어를 통해 설정해주면 git에 코드 커밋 시 자동으로 CRLF는 LF로, LF는 CRLF로 변환해준다. 나는 현재 프로젝트에만 적용할 것이기 때문에 ..

* 2줄 요약 - Source Control 탭에서 레파지토리를 연결하려고 해서 발생하는 문제(VSC 측 문제인 듯) - GitHub에서 수동으로 Repository 만든 후 연동시키면 해결된다!기존의 깃 레파지토리와 프로젝트 파일을 완전히 삭제해 준 후 동일한 이름으로 재생성하고 다시 깃과 연결하려고 했는데, 몇 번을 삭제하고 생성해 봐도 계속 존재하는 레포라며 생성이 안 됐다. 아니, 삭제했는데 왜 자꾸만 존재한다고 뜨는 거지? Publish Branch says a repository already exists when following rename redirection · Issue #185272 · microsoft/vscodeType: Bug I have a project that I want..

1) 바꾸고자 하는 레파지토리의 Settings에 들어간다. 2) 변경하고자 하는 이름을 작성한다. 저장소 주소도 바뀐 주소로 변경해주어야 한다. 3) 레파지토리에 들어가 변경된 주소를 복사한다. 4) git remote -v로 현재 연결된 주소를 확인한다.5) git remote set-url origin [복사한 새 주소]6) 다시 git remote -v로 확인해 보면 방금 지정한 주소로 변경된 것을 볼 수 있다!

* 사족이전 Git 계정에 있는 정보들을 현재 사용하는 계정에 가져오려던 깃린이는 마음대로 Add account를 눌러버렸고.. 이것저것 만지다가 깃 계정을 여러 번 날려 본 전적이 있는지라..뭔가 잘못된 줄 알고 헉..! Add account 한 계정 어떻게 없애지 없애면 계정 자체가 없어지는 거 아닌가 따흐흑 이번에도 계정 삭제 엔딩인가 괜찬하 아임파인 하다가 정신 차리고 구글링 해보니 그냥 매번 로그인 로그아웃하기 귀찮으니까 계정 add 해놓고 쉽게 사용하는 기능이었던 거임.. ^_^ ◾ 계정 추가하기Github에서 아무 페이지의 오른쪽 상단에 있는 내 프로필 사진을 누르면 메뉴가 나타난다. Add account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 창이 뜬다. 연결할 계정의 로그인 정보를 입력해주면 된다.2FA ..